부동산 어플 장단점

부동산 어플 시장

인간 삶의 기본 요소 중 하나인 주거 문제는 나라가 해결해야 할 가장 주된 현안으로 떠올랐습니다. 주택매매가격 및 거래량 상향 조정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TV에서는 ‘구해줘! 홈즈’, ‘서울엔 우리집이 없다’, ‘Bye Seoul 여기, 살래?!’ 등 집과 부동산에 대한 여러 시각을 보여주는 ‘집방(집+방송)’ 미디어가 호응을 얻었으며, 디지털 시장에서는 스타트업, 금융사 등이 주축이 되어 부동산 소식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신규 서비스를 선보이며 ‘프롭테크(Property+Tech)’ 시장이 큰 폭으로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1인 가구나 딩크족이 늘어나면서 작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이사를 앞두고 있는 수요층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방

특히 청년층에게 전월세 주택 정보를 제공하여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 시장을 선점한 ‘다방’에서 이러한 시즈널리티는 더욱 뚜렷하게 확인 되고 있습니다. 한편, 2020년 매매 시장이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아파트 실거래가 위주의 정보를 서비스하는 ‘호갱노노’가 우상향하며 그 뒤를 바짝 쫓고 있습니다. ‘호갱노노’는 ‘다방’과 달리 시즌과 다소 무관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동안 부동산 서비스 시장에서 ‘다방’과 같은 어플로 이사할 집을 구하기 위해 ‘발품’ 대신 ‘손품’을 파는 활용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자산 관리 측면에서 부동산 플랫폼에 간편하게 접근하고 정보를 탐색하는 등 서비스 사용 목적이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직방’, ‘다방’, ‘청약홈’의 경우, 월 평균 2.6~3.9일, 특정한 1개 주간에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행태가 두드러진 반면, ‘호갱노노’, ‘네이버 부동산’은 그보다 높은 4.9~5.9일 사용되었으며 월 4주 이상 연속적으로 활용한 사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부동산 어플 장단점

그렇다면 이사하기 전 체크해야 할 부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집을 알바보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현재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이색적인 아이디어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원룸이나 오피스텔 같은 단기 월세 집을 구할 때는 다방과 같은 어플의 사용도가 높으며, 전세 매물을 알아 볼때는 네이버 부동산을 많이 이용한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어플의 특징으로는 집을 방문하기 전, 어플의 게시된 정보를 사전에 확인 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크게 들 수 있고, 알아보는 곳의 거리가 멀 경우 굉장히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직접 방문해서 중개사를 따라다니는 것보다 조금 더 유기적이며, 자유롭게 집을 확인하고 고를 수 있습니다.

부동산 어플 이용요령

부동산을 알아볼 때, 옛날 방식대로 직접 거래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부동산 직거래로 유명한 ‘피터팬의 좋은 방 구하기’나 그 외 동네 커뮤니티를 통해 직접 개인 간 거래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직거래는 매물 가격이 시세보다 저렴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보통 개인 매물의 경우, 급하게 이사를 가야 해서 원룸 오피스텔을 급매로 내놓거나, 건물 주인이 부동산을 중간에 끼지 않고 직접 임대를 내놓은 경우, 그리고 간혹 집을 오래 비워 두는 분들의 매물이 이전의 시세보다 가격이 낮게 전대차 계약건도 나올 수 있습니다. 직장 때문에 단기로 잠깐 임대하는 거주자들에게는 좋은 거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알아보기도 하지만, 개인간 거래는 문제 발생시 부동산 법으로 보장이 매우 힘들거나 복잡하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부동산 어플 연령대별 순위

부동산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 이용 순위를 연령대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동일 카테고리에서도 나이의 주기에 따라 관심을 갖고 이용하는 App이 상이하게 나타났습니다. 20대는 유일하게 ‘다방’ 외에도 ‘직방’, ‘피터팬의 좋은방 구하기’와 같이 원룸·투룸 임대 매물 확인, 직거래 등을 제공하는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반면, 30대 이상은 ‘호갱노노’, ‘네이버 부동산’, ‘청약홈’과 같이 아파트 매물 거래 중심, 혹은 포털과 같이 네임밸류를 갖춘 서비스가 상위권에 포진하였습니다. 연령대에 따라 어플의 특성에 따라 사용 빈도가 달라지며, 그에 따라 트렌드도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